iot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가?

Posted by HealingCamp
2017. 3. 31. 20:04 생활정보



                                                            <게티이미지뱅크>

`사물인터넷`이란 말 그대로 사물과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걸 말합니다. 미래에는 스마트폰과 컴퓨터뿐만 아니라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책상, 스탠드, 소파, 냉장고가 인터넷으로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지금 세계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각종 통신 기술과 센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 갖춰져야 할 기본 조건입니다.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2009년까지 사물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사물은 9억개였으나 2020년까지 무려 260억개에 이를 전망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바꿔놓을 사물인터넷 기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사물인터넷은 왜 성장하고 있나요. 

        


                                          <게티이미지뱅크>

A:사물인터넷이라는 개념은 1999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에서 무선주파수 인식(RFID) 기술 연구 그룹이 처음 고안했습니다. 이후 무선인터넷(WiFi)과 LTE를 비롯한 통신 네트워크와 각종 센서, 통신 모듈이 발달하면서 더욱 각광받았습니다. 빠르고 안정적인 통신 기술이 담보돼야 사물인터넷이 제대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서는 2014년 가장 주목해야 할 10대 전략 기술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꼽기도 했습니다.

사물인터넷은 각 산업 분야와 실생활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사물인터넷이 구현되는 가장 기초 사례일 뿐입니다. 사물인터넷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계량기로 우리는 집안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옷에 사물인터넷 칩을 넣어 하루 활동량이나 날씨, 컨디션 등도 체크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운전하지 않아도 스스로 운전하는 자율주행차도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했습니다.

Q:사물인터넷을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요. 

A:사물인터넷이 작동하기 위해선 제어기, 통신칩, 네트워크 하드웨어 기술이 필요합니다. 사물에서 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도 필수입니다. 수많은 사물로부터 수집한 방대한 빅데이터를 의미 있는 결과물로 해석, 처리하는 기술도 중요하겠죠. 사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RFID, 바코드와 같은 태그 기술, 위치 추적 장치인 GPS, 수평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계 등 다양한 센서 기술도 화두로 떠오릅니다. 

근거리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술로는 지그비(Zigbee), 근거리 무선통신(NFC), 블루투스 기술이 있습니다. 좀 더 원거리에서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는 무선 랜, 유선 랜과 같은 LAN 통신 네트워크, LTE, GSM과 같은 이동통신 기반 WAN(Wide Area Network) 네트워크도 있습니다. 

<자료사진: 사물인터넷국제전시회 사진=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Q:사물인터넷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요. 

A:사물인터넷은 미래에 더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사 자료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활용 영역은 크게 교통과 물류, 헬스케어, 집, 사무실, 공장의 스마트 환경, 개인 과 소셜 등 4가지 분야로 나뉩니다. 교통과 물류 분야에서는 자동차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고 자율주행까지 가능하게 하는 주행 보조 형태로 발전할 전망입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의료 정보를 인식, 수집하고 추적해 의료기술 발전을 이루게 될 것입니다. 스마트 환경 분야에서는 사무실 환경과 산업 현장에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해 보다 편리하고 지능화된 업무로 구현될 것입니다. 개인과 소셜 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도난 방지 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물인터넷은 이처럼 농축업, 건설, 에너지, 자동차, 교통, 물류, 환경, 헬스케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융합될 수 있어 많은 사람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내가 살고싶은 IoT 하우스`를 컨셉트로, 전원 주택을 떠올릴 수 있는 모델하우스 느낌으로 전시관 안에 각종 다양한 IoT제품뿐만 아니라 제휴상

 

품을 선보였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 

관련서적 

◆생활을 변화시키는 사물인터넷, 마이클밀러지음, 정보람 엮음, 영진닷컴 펴냄

                                              
<생활을 변화시키는 사물인터넷, 마이클밀러지음,정보람 엮음,영진닷컴 펴냄>

인터넷에 국경이 없듯이, 사물인터넷 또한 하나의 기기가 다른 기기와 연결되고 세계 어느 곳에 있는 시스템과도 연결돼 삶의 많은 변화를 가지고 올 예정이다. 사물인터넷 작동 원리부터 스마트 TV, 스마트 가전제품, 스마트 홈, 스마트 의류, 스마트 쇼핑,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항공기, 스마트 전쟁, 스마트 의학, 스마트 비즈니스, 스마트 시티까지 우리 실생활에 근접해 있는 여러 사물인터넷을 다양한 시각으로 설명한. 사물인터넷이 정확히 무엇인지, 어디서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사물인터넷-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뛰어넘는 거대한 연결, 편석준,진현호,정영호,임정선 지음, 미래의창 펴냄 

                                         
<사물인터넷-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뛰어넘는 거대한 연결, 편석준,진현호,정영호,임정선 지음, 미래의창 펴냄>

지금까지의 온라인 혁명이 `인간`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시대였다면 앞으로 펼쳐질 세상은 `사물`이 중심이 된 진정한 스마트 세상이 도래할 것이다. 스마트폰이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언제 어디서든 연결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주었다면, 사물인터넷은 인간 주변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고, 인간과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한다. 사물인터넷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사물인터넷 상품을 소개한다. 사물인터넷이 먼 미래 일이 아니라 벌써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임을 깨달을 수 있다.

주최:전자신문 후원: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비트코인 나라별 최적화 '알트코인' 뜬다

Posted by HealingCamp
2017. 3. 31. 13:24 알트코인/ Altcoins 정보 분석 뉴스

비트코인에 사용된 암호화 기술을 활용한 가상화폐를 지역별 정치, 경제 상황에 맞게 만든 일명, 알트코인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인을 나라별 특성에 맞게 최적화한 현지화 버전이 뜨고 있다는 얘기다.

비트코인 전문 블로그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에 사용된 암호화 프로토콜을 응용한 알트코인들 중 현재까지 국가 단위에서 성공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은 8개로 나라별 정치,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암호화 화폐 시장규모를 보여주는 코인마켓캡닷컴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60억달러 규모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뒤를 알트코인이 잇고 있다. 국가별로 자체적으로 사용되는 알트코인 중 가장 큰 규모를 가진 것은 아이슬란드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로라코인(AUR)이다.

31일 기준 오로라코인은 달러화로 환전했을 때 2천382만달러 규모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이 나라에서 사용되던 화폐인 크로나는 달러 대비 환율이 폭락하면서 1달러당 65크로나에서 137크로나까지 치솟았다. 이에 아이슬란드 정부는 캐나다 달러로 환전하는 것조차 엄격히 금지해 왔다.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과 함께 등장한 것이 오로라코인이다. 이 나라 기업가로 알려진 발데르 오딘슨은 채굴가능한 오로라코인을 모은 뒤 지난 25일부터 자국 국민 33만여명에게 1인당 약 32오로라코인을 배포하기 시작했다. 발데르 오딘슨은 정부가 주도한 환율정책 실패에 대한 반감으로 직접 국민들끼리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 화폐를 만들자고 했다.

스페인에는 스페인코인, 페세타코인 2종류의 알트코인이 사용되고 있다. 지난 12일부터 유통되기 시작한 스페인코인은 188만달러 규모로 거래되고 있다. 인구 4천67만명인 스페인은 국가 단위 암호화 통화를 가진 나라 중 가장 큰 인구규모를 자랑한다.

스페인코인 역시 스페인 정부의 무능함을 비판하는 분위기속에 만들어졌다. 지난 6년 간 경제위기를 겪는 동안 빚만 쌓고, 위기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책임을 묻는 성격이다.

스페인코인 개발자들은 자신들이 모은 코인의 절반을 자국 내 암호화 화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무료로 나눠준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총 5단계로 진행되는 배포계획은 1단계에서 1인당 100 스페인코인(SPA)씩 총 5만명에게 전달하고 순차적으로 코인수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페세타코인은 44만7천달러 규모다. 페세타는 유로화로 통합되기 전 스페인에서 쓰던 고유 화폐로 1억6천600만 페세타코인(PTC)이 스페인에서 발행될 예정이다. 스페인코인과는 달리 일반 국민들에게 무료 배포 계획은 없다.

앞으로 디지털 경제를 창조하기 위해 새로운 교환수단으로 알트코인에 주목하는 나라도 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코트코인 9억8천만개가 선발행될 예정이다. 비트코인 팬이자 수 년간 금융/기술분야에서 일해 온 데렉 니스벳이 만든 스코트코인은 2천만개가 새롭게 발행될 예정이다.

지난해 초 유럽에서 발생한 금융위기 이후 전 국가적인 비트코인 열풍이 불었던 키프로스에서는 아프로디테코인이 새롭게 등장했다. 앞서 오로라코인과 마찬가지로 아프로디테코인은 사전에 발행된 물량의 약 75%가 키프로스 사회보장번호를 기반으로 1인 당 25.4 아프로디테코인(APH) 만큼 배포될 예정이다. 첫 배포는 4월21일로 예정됐다.

이밖에도 영국 헐 시티 지역에서는 첫 영국 지역 정부가 운영하는 '헐코인'이 발행됐다. 이 코인은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 지역 내에서 사업하고 있는 대기업들은 해당 코인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방법이 적용됐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Free 알트코인 을 가져보세요!

  


해독 효과로 간 기능 높이는 식품 5

Posted by HealingCamp
2017. 3. 31. 08:56 생활정보/건강정보



피로가 누적되고 음주가 잦아지면 ‘침묵의 장기’인 간은 점차 지쳐간다. 과음 등으로 간에 쌓인 독성 성분은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다. 간이 지쳐있을 때 휴식, 금주와 함께 간 해독 기능을 가진 자연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미국의 간 기능 전문연구 사이트인 리버서포트가 간 해독에 좋은 식품 5가지를 소개했다.

자몽=비타민C와 글루타티온을 다량 함유한 자몽은 간의 자연 정화과정을 증진시킨다. 자몽 하나에는 70㎎의 글루타티온이 들어있으며, 글루타티온이 바로 간 해독 효소의 생산을 돕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게다가 자몽의 펙틴 성분(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콜로이드성의 다당류)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기능도 있다.

호두=호두와 같은 견과류는 아르기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아르기닌은 간에서 암모니아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호두에는 글루타티온과 오메가-3 지방산 성분도 많이 들어있는데 이 역시 해독작용에 도움을 준다.

마늘=마늘의 건강 효능은 다양하다. 그 중 하나가 간 해독기능이다. 마늘은 알리신 및 셀레늄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들 성분이 간을 깨끗하게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마늘은 또한 황 성분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몸의 독소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마늘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도 있다.

사과=사과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미네랄, 그리고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식물성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들 모두 해독 과정에 관여한다.

사과 한 개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담즙 생산을 자극하고 담즙은 해독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사과의 펙틴 성분은 혈액 속 금속성분을 제거하는데 기여한다.

브로콜리=브로콜리나 콜리플라워, 양배추 등 십자화과 채소는 인체의 글루코시놀레이트 양을 증가시킨다.

이들 채소에 들어있는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C 등과 함께 해독기능을 한다. 간에서 해독 효소를 증가시켜 독소를 배출하는 것이다.